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건협 건강증진연구소, 간 섬유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확인

간 섬유화 위험인자로 연령증가, 남성, 제2형 당뇨병, B형 간염 보균자,

윤진성 기자 | 기사입력 2021/04/23 [08:15]

건협 건강증진연구소, 간 섬유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확인

간 섬유화 위험인자로 연령증가, 남성, 제2형 당뇨병, B형 간염 보균자,

윤진성 기자 | 입력 : 2021/04/23 [08:15]

 

▲ 한국건강관리협회 나은희 건강증진 연구소장



한국건강관리협회(회장 채종일, 이하“건협”) 나은희(건강증진연구소장/진단검사의학전문의) 연구팀은‘한국의 일반인구집단에서 간 섬유화 유병률과 관련 위험인자(Prevalence of liver fibrosi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연구논문을 SCIE급 학술저널「BMJ Open*」최근호에 발표했다.

 

* BMJ Open는 의학 분야에 관한 연구 논문을 다루는 SCIE 급 open access 의학저널임.

 

이 연구는 간 자기공명탄성영상(MRE;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검사를 통해 측정한 지역사회 주민에서의 간 섬유화의 유병률과 분포를 조사하고, 간 섬유화의 위험요인을 파악한 것이다. 

 

- 간 섬유화는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인 간경변의 이전 단계로,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간 섬유화를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간 섬유화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8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건협 13개 건강검진센터에서 간 자기공명탄성영상(MRE)검사를 포함한 건강검진을 받은 검진자 8,183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 간 섬유화 분포를 보면, 대상자 중 9.5%가 초기 간섬유화 이상(significant fibrosis, ≥2.90 kPa)이었다. 특히 이중 2.6%는 진행된 간섬유화(advanced fibrosis, ≥3.60 kPa)로 조사됐다.

 

또한 초기 간 섬유화(significant fibrosis)의 위험인자로는 연령증가, 남성, 제2형 당뇨병, B형 간염 보균자, 간기능 이상, 비만, 대사증후군 등이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협 나은희 건강증진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증상을 보이지 않는 지역사회 주민에서 10명 중 1명은 초기단계 이상의 간 섬유화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서 간 섬유화의 진행 및 이와 관련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재 증상은 없지만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간 섬유화 스크리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진성기자 js-2158@hanmail.net       

이메일:tkpress82@naver.com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울주군, 제5회 작천정 벚꽃축제 개최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