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단동십훈' 속에 담긴 천부사상도리도리...단동십훈의 의미가 천부원리로 해독되다[한글 플러스코리아]신민수= 단동십훈의 유래는 아무도 모른다고 합니다. 단지 단군시대 이전부터 왕족들 사이에서 교육의 일환으로 배운 것으로 천부경의 원리가 담겨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한웅시대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
그런데 필자가 소리원리를 사용하여 단동십훈의 소리를 해석하여 본 결과에 의하면 단동십훈 속에는 천부의 원리가 그대로 담겨있었습니다. 이는 전해진 말이 사실임이 증명되는 것이며 또한 그 내용도 진실임이 입증되는 것입니다. 이 단동십훈의 내용은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한분도 빠짐없이 모두가 알고 있는 내용입니다. 여기에 천부원리가 실제로 표현되고 있으니 이제는 천부경의 위서논쟁은 의미가 없게 되는 것입니다.
위의 표는 하나 둘 샛...열의 소리속에서 발견한 소리원리표입니다. 한국어의 80% 정도는 위 소리원리표에 의하여 해독됨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제 위 소리원리표를 사용하여 단동십훈의 소리의미를 해석하여 보겠습니다. 1. 불아불아 동작 : 허리를 잡고 좌우로 흔듦 ![]() 불 : ㅂ(분리, 음양의 분리) + ㄹ(중극) => 삼태극 아 : 입모양이 둥굴다 => [○] => 원천 예) 아기, 아침, 아(芽 : 삭), 강아지, 송아지, 망아지 등 弗 : ㅣㅣ(음양) + 弓(중극) => 삼태극 해설) 불아불아 : 불[삼태극]은 원천[○, ㅏ]이다 좌우로 흔듦 => 음양 2. 시상시상 동작 : 앉아있는 아기를 앞뒤로 흔드는 동작 시상 : ㅅ(서다) + ㅣ(서다) + ㅅ(서다) + ㅇ(완성) => 서서 완성 해설) 시상시상 : 아기야 부디 바로 서라~ 아기가 바르게 서기를 기원하는 부모의 마음을 표현한 소리 3. 도리도리 동작 : 머리를 좌우로 돌림 도리 = ㄹ(회전) ![]() 돌이돌이 -> 도리도리 해설) 도리도리 : 돌아가는 이치, 돌아가는 이치를 깨달아라 4. 주앙주앙[天] 동작 : 양손을 폈다 강하게 쥐는 모양 ![]() 주앙 : ㅈ(중심) => 중심의 자리, 원천[●] 주앙주앙 -> 잼잼 해설) 주앙주앙 : 원천[●]을 우러러 보라 5. 곤지곤지[地] 동작 : 오른 손가락으로 왼쪽 손바닥을 찍는 모양 ![]() 곤지 : 고(高) + ㄴ(내림) => 위[高]에서 내려[ㄴ]오는 방향, [ㅡ] 해설) 곤지곤지 : 음극의 이치 6. 섬아섬아[人] 동작 : 아기를 세우는 동작 ![]() 섬마 : ㅅ(서다) + ㅁ(마침자음) + ㅏ(아기) => 서라 아가야 섬아섬아 -> 섬마섬마 해설) 섬아섬아 : 서라 아가야~ , 양극의 이치 7. 업비업비 동작 : 나쁜 행동을 못하게 하는 동작 업비 : ㅓ(음성) + 종성ㅂ(합침) + 비(非) => 어둠과 합치지 말라 해설) 업비업비 : 어두운 행동을 하지 말라 8. 아함아함 동작 : 손바닥으로 입을 막음 아함 : 아[○] + ㅁ(뭉침) => 원천을 뭉침 해설) 아함아함 : 바른기운을 합쳐라 9. 짝짜꿍 짝짜꿍 동작 : 양손을 합치는 모양 짝궁 : ㅉ(두쌍 : 음양) + 종성ㄱ(닿다) + ㄱ(크다) + ㅇ(완성) => 음양[ㅉ]이 좋화로운 궁[宮]을 만들어라. 해설) 짝짝궁 : 음양이 조화로운 궁[宮]을 만들어라 오른손은 양을 뜻하고 왼손은 음성을 뜻함 10. 질라라비 휠휠 동작 : 좋아서 나팔을 부는 모양 질라라비 훨훨 = ㅈ(조화) + ㄹㅏ(삼태극) + ㅂ(밝다) + ㄹ(즐겁다) 라 : ㄹ[중극] +ㅏ(○ : 둥근 입모양) => 삼태극 해설) 질라라비 훨훨 : ㅈ(조화) + ㄹㅏ(삼태극) + ㅂ(밝음) + ㄹ(즐겁다) => 조화로[ㅈ]운 삼태극[ㄹㅏ]이 밝게 빛[ㅂ]나니 즐겁[ㄹ]구나 ~ ~ ~
기본사상 : 3극사상, 도리도리 깍궁 원천[● , 천] => 아기 음성[ㅡ, 지] => 도리도리 : 돌리다 => 고개를 수평[ㅡ] 움직임 양성[ㅣ, 인] => 각궁 : 각으로 구부림 => 고개를 수직[ㅣ]으로 움직임 도리도리 깍궁 : 음양사상의 가르침, 아가야 음양의 이치를 깨달아라 ~ <저작권자 ⓒ pluskore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글기호는 뜻이 담겨있는 뜻글이란 사실을 발견하여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알리고 있는 사람입니다.
![]()
한글 관련기사목록
|
연재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