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며 수도권 첨단시스템반도체클러스터와 지방 14개 국가첨단산업단지 조성 등을 발표했다. 이는 2026년까지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바이오·미래차·로봇 등 6대 첨단산업 분야에 550조 원 민간 투자를 이끌어낸다는 계획의 일환이다.
윤 대통령은 “우선 300조 원에 달하는 대규모 민간 투자를 바탕으로 수도권에 세계 최대 규모 신규 첨단시스템반도체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며 “또한 기존 메모리반도체 제조단지와 150개 이상의 국내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판교 팹리스(반도체 칩 설계·판매 전문화) 기업을 연계해 반도체메가클러스터를 키워나가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주개발, 미래차, 수소 등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해 지방에도 3300만 제곱미터 총 1000만 평이 넘는 규모의 14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로 조성하겠다”며 “첨단산업 발전은 전체 경제성장과도 직결되지만 지역균형발전과도 직결된다. 국가첨단산업단지 조성 계획은 지역이 주도해 비교우위에 있다고 판단되는 최우선 과제를 중앙정부에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정부는 지역 스스로 비교우위가 있다고 판단되는 분야를 키우도록 토지이용 규제를 풀고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라며 “아울러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가첨단산업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최대 25~35%) 법안이 빠른 시일 내 통과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pluskore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회말 2아웃에도 포기를 모르는 야구선수들처럼, 끝까지 최선을 다하고 책임감 있는 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강심장’을 가슴에 품고, ‘런닝맨’처럼 취재현장을 뛰어, 독자들에게 웃음과 ‘힐링’을 선사하겠습니다. ![]()
|
연재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