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배수진 친 與혁신위 험지 출마 무응답에"중진·친윤 희생 안하면 해산할 수도"강한 압박

??? | 기사입력 2023/11/14 [00:14]

배수진 친 與혁신위 험지 출마 무응답에"중진·친윤 희생 안하면 해산할 수도"강한 압박

??? | 입력 : 2023/11/14 [00:14]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13일 "발족 초기에 혁신위가 별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굳이 임기를 채울 필요 없이 조기종료하자는 대화가 오갔다"고 밝혔다.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전제가 붙긴 했지만 당 지도부·중진·친윤석열계 핵심 인사들이 불출마 혹은 험지 출마 요구에 침묵을 지키는 상황에서 배수의 진으로 읽힐 수 있는 대목이다.

연일 인요한 혁신위가 중진·지도부·친윤석열계를 향해 불출마나 험지 출마를 요구한 후 지도부가 침묵을 지키고 있는 가운데 2·3호 혁신안 수용 여부도 현재까진 불투명해 보인다.

지도부는 혁신안 수용 이전 속도 조절 이유로 당내 여론 수렴의 필요성을 내세우지만 실상은 수위가 센 혁신안에 난감해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이에 지도부를 중심으로 내년 총선준비 작업이 본격화되면서 혁신위의 역할이 축소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여권에 따르면, 혁신위는 출범한 지 2주만에 혁신안 1·2·3호를 잇달아 내놓는 등 속도감을 살려 당 혁신에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중 지도부가 의결한 사안은 현재까지 당내 대사면인 1호 혁신안 뿐이다. 의원정수 감축, 현역 의원 평가 하위 20% 공천 배제 등을 담은 2호 혁신안에 대해선 "전적으로 공감한다"면서도 당내 의견 수렴과 입법 검토 등을 거쳐 추후 입장을 발표하겠다고 했다.

청년에 공천 인센티브를 파격 제공하는 내용의 3호 혁신안은 아직 최고위원회 보고 전이다.

공식 혁신안은 아니지만 인 위원장이 권고한 중진·지도부·대통령 측근의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에도 지도부는 말을 아끼고 있다. 중진들 사이에서 혁신위를 향한 불만도 포착된다. 최근 대구지역 5선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은 "서울에 절대 갈 일이 없다"며 혁신위의 험지 출마 요구를 거부했다.

이와 관련해 인 위원장은 지난 10일 "시간이 좀 필요하다"면서도 "요구를 좀 더 세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단 당 지도부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김기현 대표는 자신이 먼저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를 밝혀 다른 의원들이 압박에 의해 결단을 내리는 것보단, 자발적인 움직임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위 20% 공천 배제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도 여전히 말을 아끼고 있다.

실제로 당 주류를 중심으로 혁신위의 험지 출마 및 불출마 권고가 타이밍 상 너무 빠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기현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정기국회가 마무리되고 본격적인 선거 국면으로 접어드는 내년 1월을 결단 시기로 판단하고 있다.

혁신위 관계자는 "빨리 (선언을) 하고 가야 국민들한테 통할 것 같은데 그분들은 예산국회 끝나고가 맞지 않느냐 얘기하신다"면서 "혁신위가 더 강력하게 희생을 요구했다가 그것도 안 되면 잘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또다른 혁신위원도 "물밑에서 충분히 의견 교류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대외적으로 천천히 드라이브를 걸 가능성이 크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면서 "당내에서 위기 의식을 충분히 갖지 못하고 정세를 잘 읽지 못하는 부분에서 유감스러울 따름"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혁신위가 권고안도 공식 혁신안으로 올리겠다고 예고한 만큼 지도부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3호 혁신안에 담긴 청년 전략지역구 선정은 불출마·험지 출마 요구와 맞물려 있어 지도부가 결단을 언제까지고 늦출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에 따라 혁신위 4호 안건은 민생 경제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높다. 인 위원장은 전날 언론 인터뷰에서 4호 혁신안 방향성에 대해 "연구개발(R&D), 경제, 민생"이라며 "경기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원본 기사 보기:?????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고흥 팔영산 편백 치유의 숲, “숲속의 작은 음악회”성료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