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공공임대 9만명이 기다리는데…'LH 임대' 빈집은 4만3천호 넘어

이성민 기자 | 기사입력 2023/12/13 [13:42]

공공임대 9만명이 기다리는데…'LH 임대' 빈집은 4만3천호 넘어

이성민 기자 | 입력 : 2023/12/13 [13:42]
본문이미지

▲ /사진제공=허영 국회의원실     ©

공실률 충북 11.9% 최고·제주 0.9% 최저

수요·공급 불일치 '심각'…입지·인프라 영향

1년이상 장기공실 손실액,  5년간 1683억

 

[동아경제신문=김선아 기자]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춘천‧철원‧화천‧양구갑)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소관 전국 임대주택 중 4만 3천호 이상이 미임대 상태로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LH 임대주택 공실 현황을 살펴보면 건설임대주택이 3만8901호, 매입임대주택이 4859호로 각각 집계되고 있다. 건설임대주택 중 가장 높은 공실률을 보인 유형은 ‘신축다세대’로, 무려 20.3%의 공실률을 기록했다. 그 뒤로는 행복주택(9.0%), 영구임대(7.2%)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 공실률을 보면 충북이 11.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전남(7.0%), 경남(5.8%), 부산(5.2%), 대전(5.1%), 경북(4.9%) 등의 순이었다. 임대주택의 공실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0.9%)였으며, 인천(1.7%), 강원(1.9%), 서울(2.2%), 광주(2.8%), 경기(2.8%) 등이 뒤를 이었다.

 

공실 기간별로 보면 ‘6개월~1년’ 범위의 공실이 2만2849호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공실(4만3760호)의 절반 이상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는 ‘1년~2년’에 해당하는 공실이 1만3045호로 약 30%의 비중을 차지했다. ‘2년~3년’의 기간 동안 공실이었던 호수도 5302호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렇게 임대주택이 공실로 유지되면서 생기는 손실액도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공실 기간 ‘1년 이상’으로 기준으로 잡았을 때 임대료와 관리비 명목으로 지출되는 비용은 1683억원이나 되며, 연도별 손실액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문이미지

 

이 같은 공실 발생이 더욱 심각한 이유는 올해 7월말 기준 공공주택의 예비입주 대기자가 9만713명에 달하는 데다 일부 수도권 지역은 공급 부족으로 임대주택 입주 대기 기간이 평균 50개월(인천 영구임대주택 50.2개월)을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한쪽에서는 공공주택 빈집이 4만3000호가 발생하는데, 또 다른 한쪽에서는 공공주택 입주를 기다리는 예비대기자가 9만명이 넘는 현실이다. 

 

결국 수요와 공급 사이에 심각한 불일치가 발생한 상황인데, 이처럼 다수의 임대주택 공실이 발생하는 이유로는 LH의 설명 등을 고려했을 때 수요 예측 실패로 인한 초과 공급, 불편한 입지와 주변 인프라 부족, 노후화로 인한 선호도 하락, 작은 평형, 지역별 임대주택 수요 차이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허영 의원은 “국토부와 LH는 단순히 계획 공급 물량의 소화에만 주력할 것이 아니라, 수요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라며, “신규 공급 시에는 유형별 수요 분석을 철저히 해야 하며, 노후 단지는 리모델링 등 재정비에 적극 나서서 임대주택의 인식 개선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원본 기사 보기:동아경제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완도 약산 해안 치유의 숲, 지난해 대비 방문객 3배 늘어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