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기자수첩>브리핑룸 제도의 모순과 주재기자제도의 잘못된 관행

경남플러스코리아 편집국 | 기사입력 2008/04/02 [09:37]

<기자수첩>브리핑룸 제도의 모순과 주재기자제도의 잘못된 관행

경남플러스코리아 편집국 | 입력 : 2008/04/02 [09:37]
▲ 편집국장    ©플러스코리아 경남편집국
지난 3월 17일, 경기도 부천시청 브리핑룸에서 한 기자가 다른 기자들을 향해‘인분’을 뿌린 전대미문의 사건이 있었다.
 
당시 인분을 뿌린 당사자는‘부천 타임즈’의 양주승 기자, 양 기자가 이런 극단적인 방법을 통해 알리고자 했던 부천시 출입기자단, 그 이면에서는 어떤 일들이 있는 것일까?
 
현재 부천시청 출입기자는 65개의 신문사에서  87명이 등록되어 있다. 이들 부천시청 출입기자 가운데 지방 일간지를 중심으로‘기자단’을 결성되어 회장, 부회장, 총무, 간사 두고 활동하고 있다.
 
보통 다른 곳에는 출입처별로 간사 1명을 두고 운영되지만, 부천에서 만큼은 회장 직함까지 만들어 조직화되어 있다.
 
양주승 기자는 광고 집행에 있어서도‘기자단’총무가 자의적으로 광고 금액과 매체를 선정해‘기자단’눈에 벗어난 신문은 소외킨다고 했다.
 
또 일부 시의원들에게 시장이 추진하는 사업 관련 조례를 시의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부탁하는 등 친시장(市長)적인 행태를 보였으며, 부천시‘기자단’회장의 최근 일 년간 기사를 분석한 결과, 41개의 기사 중 33개가 시에서 배포한 시정 홍보성 보도 자료를 그대로 실었다.
 
이처럼 부천시‘기자단’이 시장의 홍위병이 된 이유는,‘기자단’이 부천시와 적절히 유대 관계를 가져야만 지역의 기업체 광고나 관의 행정 광고 받을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사건은 부천시 기자단 내 일부 기자들의 패거리 주위와 부천시의 언론 줄 세우기가 만들어낸 부천 기자실‘인분 투척 사건’이다.
 
그런데 과연 이러한 병패가 비단 부천시에서만 있는 것일까? 이것은 지역 현형 기자단 제도의 근본적인 문제이다.
 
각 시·군에 주재하고 있는 이들 기자들은 취재와 광고·판매가 분리돼 있지 않다. 본사에서 할당해준 일정 부수 이상의 신문을 소화해야 한다. .
 
그리고 처음 계약할 땐 500만원~1,000만원 정도의 보증금을 건다. 적자가 나는 부분은 보증금에서 까내려 간다. 그러다 보면 보증금까지 다 까먹고 오히려 본사에 채무를 지고 있는 주재기자도 부지기수다.
 
그런데 왜 이런 돈안되는 주재기자를 하는 걸까. 대부분 주재기자들은 해당 지역에서 최소한 식당이라도 갖고 있는 사람이 많다. 노래방이나 싸롱을 운영하는 기자들도 있고, 제법 그럴듯한 중소기업을 갖고 있는 사람도 있다. 또 그런 게 없더라도 자기 재산이 많아 돈걱정은 없는 사람들이 많다.
 
결국 그들은 직업이 필요한 게 아니라 ‘끗발’이 필요한 것이다. 이 끗발을 이용해 온갖 부정을 저지르다 구속에 이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신문사는 광고를 먹고 산다. 대부분 신문사의 광고 의존도가 70~80%에 이른다.
 
그리고 관공서도 모두들이 공보실을 두고 있는데, 대부분 관공서의 공보담당관은 국장 또는 과장급이다. 그 아래에는 4~5명 또는 많게는 10명 이상의 직원들이 있다. 그들 역시 기업체의 홍보담당자와 역할이 비슷하다. 점심 때는 거의 기자들과 함께 식사를 한다.
 
물론 밥값은 공무원의 몫이다. 그들은 매일 매일 보도자료를 만들어 제공하고, 특별한 홍보가 필요할 땐 촌지까지 제공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기관장과 기자들의 식사 및 술자리를 만든다. 그런 자리에서 촌지가 건네지는 경우도 있다.

경남 플러스코리아(원본 기사 보기)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언론 관련기사목록
더보기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포토] 보성녹차마라톤대회, 메타세콰이어길에서 열정의 레이스 시작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