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우러러 모실 백정기 의사여!"

정문호 기자 | 기사입력 2012/09/02 [17:29]

"우러러 모실 백정기 의사여!"

정문호 기자 | 입력 : 2012/09/02 [17:29]
▲ 2012년 8월 15일 백정기 의사 기념관에서 거행된 8.15광복절에서 이복재 시인의 서사시 '우러러 모실 백정기 의사여'를 동국대 시낭송학과 김순영 교수가 낭송해 참석한 500여 인사들에게 감동과 감명을 주었다.     ⓒ 편집부

우러러 모실 백정기 의사여


작: 笑山 / 李 複宰

낭송: 김순영 교수/ 국제 시 낭송가

 
하늘도 슬퍼하고 산도 메아리쳐
얼마나 울었을까아
억조창생億兆蒼生 배달민족 서러워
얼마나 울었을까아
원수의 담장 안에서 붉은 핏물 쏟으며
깨인 혼 빛 배인 고운님
그렇게 가시었다
 
 
한겨레여! 슬프다 마라
반역의 무리, 열강의 외세 물리치고자 떨쳐 일어난
삼십만 혁명군의 붉은 핏물
하늘로 높이 솟아올라
온 산하에 아낌없이 뿌려지고 백골이 진토塵土 된
민족주권, 민주의 동학혁명이 있었지 않은가
 
 
어찌 슬프기만 하랴
안중근으로 하여금 침략괴수 이등박문 척살하고
독립의 횃불 높이 든 3.1만세혁명
거국적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세우고
4.19혁명 정신으로 되살아 나
광주 5.18민주화혁명으로 활활 타오른 것은
그때, 고부古阜에서 시작된 삼십만 혁명군의 넋이
조국의 자주와 민주의 꽃으로 피어나지 않았던가
 
 
천년만년 이어져 온
그 이름 찬연한 한겨레 터전
‘백산’에 올라 백두대간 호령하고
‘천태산’에 올라 호연지기 키우니
이 강산 겨레의 꽃들은 미학美鶴처럼 나래펴고
녹두장군의 후예 백정기白貞基를 맞았다
 
 
조국의 독립 위해
자율정부 지지하고 지배권력 배격한 ‘아나키스트’
원수의 간담을 서늘케 했던 ‘흑색공포단’
침략원흉 일왕의 목줄 쥐었다 놓은 염라대왕
항일투쟁의 선봉자 백정기 의사여
 
 
병든 동지 구환하다 얻은 폐결핵 병마도
조국 독립과 겨레 사랑에 무릎 꿇어
군수물자 실은 일제 수송선에 폭탄 던져 파괴하고
일왕생일 기념한 ‘천장절’에 폭탄투척 결행하고
간악한 일제의 대륙침략 음모를 폭로한 ‘육삼정’ 거사
 
 
조국 잃은 서러움과 울분으로 통탄하며
원수의 핍박과 겨레의 한으로 지샌
서른아홉 해 눈물의 성상이라
 
 
온 몸에서 뿜어져 올라 온 붉은 핏물, 고통 속에서도
조국 독립 꿈꾸던 정읍 고사부리군 떠올리고
백의의 겨레 환한 웃음 그리던
아! 구파 백정기 의사....
동학혁명 지도자 녹두장군 전봉준의 후예답게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모든 강제권력으로부터 해방시키고자
온 몸으로 실천하시었다
 
 
아! 님은 뜨거운 피 토하며 외치셨다
“한겨레여! 나의 구국일념은
첫째, 강도 일제로부터 주권과 독립을 쟁취함이요,
둘째는 전 세계 독재자를 타도하여 자유·평화위에
세계 일가一家의 인류공존을 이룩함이니.“
 
 
삼십억명 아시아인도 하지 못한
의로운 항거여!
구국의 절개여!
독립의 꽃이여!
 
 
아! 그 이름 찬연한 구파 백정기 의사여!
민족 혼, 민족의 등불이 되어
오늘의 우리에게
뛰는 심장, 성화의 불씨 지펴
촛불처럼 스스로 밝히며 타오르고
완전한 조국 독립의 기둥이요
온전한 조국 주권의 꿈이요
분단극복의 희망이요
조국의 동량이자 영걸이 되게 하시었다
 
 
아! 그 이름 찬연한 구파 백정기 의사여!
하늘의 기운이 용솟음치게 하고
하늘의 뜻이 인간본성으로 물들게 하여
한겨레 하나 되는 날
한국해에서 백두산에서
서로서로 껴안아 춤을 추고 기쁨을 노래하며
우러러 모실 어른이시다
 
 
아! 그 이름 찬연한 구파 백정기 의사여!
천구백삼십사년 유월 오일, 오늘
우리가 선생의 이름을 부르는 까닭은
날마다 유월 오일을 기리고
날마다 유월 오일로 살기 위해서이고
조국과 민족을 위한 거룩하고 숭고하신 뜻,
우러러 공경하며 살기 위한 까닭이다
 
▲ 백정기 의사 기념관에 소장된 영정 사진     ⓒ플러스코리아

*백산(白山): 백산은 전북 부안군 백산면에 위치해 있으며 죽산(竹山)이란 애칭을 가진 산이다. 1894년 4월26일 동학혁명군이 전북 부안군 백산면에 위치한 백산성터에서 죽도(竹刀)를 가지고 혁명의 기치를 높이 든 장소로서, 혁명군이 일어서면 하얀 옷만 보인다 해서 백산(白山)이며, 혁명군이 앉으면 대나무창만 보인다 해서 죽산(竹山)이라 애칭이 붙은 것.
 
 
*영원면 천태산(天太山): 동진강 유역에 위치한 전북 정읍시 영원면 동남부에 위치한 천태산(182m)이다. 은선(隱仙)·후지(後池)·장재(長才)·앵성(鶯成)·운학(雲鶴)·풍월(豊月)·신영(新永) 등 7개 동리가 있다. 유물·유적으로 은선리3층석탑(보물 제167호)·은선리토성터(전라북도 기념물 제56호) 등이 있다. 특히 천태산 주변은 ‘백제고분군(돌방무덤)’이 많이 산재해 있어 ‘경주고분군’과 나주 ‘반남고분군’과 함께 정읍 ‘영원고분군’으로 역사 문화적 가치를 지닌 소중한 문화재가 있는 산이다.
 
 
*아나키스트(anarchist): 지금까지 아나키즘(anarchism)을 ‘무정부주의’라고 번역한 사람이 일본 도쿄대학 게무리야마 센이치로서 그가 어떤 의도를 가졌거나 혹은 편의적으로 ‘무정부주의’라고 번역한 것이 마치 정부 조직이 없는 혼란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면서 공산주의나 자본주의 하에서 많은 오해와 편견을 가지게 되었다. 명확한 것은 아나키스트는 개인을 지배하는 모든 정치 조직이나 권력, 사회적 권위를 부정하고 자율정부를 지지하고 지배권력을 배격하는 개인의 자유와 평등, 정의, 형제애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상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다.
 
 
*흑색공포단(黑色恐怖團,BTP(BLACK TERRORIST PARTY)): 독립운동단체. 항일구국연맹 산하에 조직된 무력 투쟁 단체로 일본 제국의 요인을 암살하고 기관을 파괴하며 친일분자를 살해하는 등의 활동을 계획하여 백정기 의사의 주거지에서 결성되었으며, 대표적인 친일파 왕징웨이 척살을 도모하고 일본 영사관에 폭탄을 여러 차례 투척하였고, 1933년에는 중국 주재 일본 대사를 암살하려다 미수에 그쳤다.
 
 
*천장절: 일본 왕의 생일을 기념하기 위한 날인 ‘천장절(天長節)’로서 1932년 4월 29일 천장절을 일본군의 상해사변 전승 축하식과 함께 병행하여 상해 홍구공원에서 거행할 당시 백정기 의사가 먼저 폭탄투척하기로 하였으나 중국인의 변절로 실패하자, 윤봉길 의사가 이어서 폭탄투척 하여 상하이 파견군 총사령관 시라카와 요시노리, 상해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타 사다쓰구 등을 죽이고, 총영사 무라이, 제3함대 사령관 노무라 기치사부로(野村吉三郞) 중장, 제9사단장 우에다 겐키치(植田謙吉) 중장, 주 중국 공사 시게미쓰 마모루(重光葵)에게 중상을 입혔다.
 
 
*육삼정(六三亭):1933년3월 상하이 훙커우(虹口)에서 정현섭, 원심창, 이강훈등의 아나키스트 동지들과 중국 주재 일본 공사 아리요시 아키라(有吉明)와 친일파들을 제거하려 했으나 배신자의 밀고로 인해 거사 당일 일경에게 체포되었으며, 일본 나가사키로 끌려가 백정기 의사는 무기징역을 선고 받고 복역 중 순국한 사건.
 
▲ 윤봉길,이봉창과 함께 3의사 중 한 분이며, 사진은 백정기 의사의 상하이 '육삼정' 의거 직후 중일 경찰에 피체되었을 때. 자료사진     ⓒ 플러스코리아
 
 
백정기 의사는 1896년(高宗 建陽) 1월 19일
부안군 남하면 내진리(扶安郡 南下面 內振里:現 扶安郡 扶安邑)에서
아버지 백사순(白士順)의 장남으로 태어나서 일찍 부친을 여의고
정읍 영원면으로 이사하여 주경야독으로 사서삼경은 물론 신학문에도 능통하였다.

15세가 되던해 우리나라가 강도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기는 경술국치를 당하면서
비록 어리지만 소년의 가슴에도 일제에 대한 울분과 이에 대한 저항 의식 및 구국일념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때 영원면 갑부인 함양조씨 문중의 팔락 낭자와 결혼하게 된다.

1919년 3·1운동에 참여하고 향리인 정읍으로 내려와 만세시위를 선도하였고,
동지들과 서울, 인천을 오가며 일제기관의 파괴와 방화, 요인암살 등을 계획하다
일경의 추격을 받고 그해 8월 중국 봉천(奉天)에 망명하였다.

중국을 근거지로 수차례 국내를 왕래하며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을 펴다
일시 일제 경찰에 구금되었으나, 의사의 기지로 무사히 나와 1922년에 북경(北京)으로 재차 망명한다.

1924년 일본 동경에 잠입하여 은신하면서 동지를 규합하여 침략 원흉인 일왕 처단과 수력발전소 파괴
등을 계획하였으나 갑자기 일어난  관동대지진으로 뜻을 못이루고 북경으로 다시 돌아왔다.

북경에 온 의사는 이회영(李會榮), 신채호(申采浩) 선생등과 함께 더 적극적인 독립투쟁을 전개하고자
1924년 6월 재중국조선아나키스트에 가입하였다.
 
의사는 일본제국주의자들에게, 빼앗긴 국권을 다시 찾고 조국을 독립시키기 위하여
상해 임시정부 기치하에 통일 단합하고 중국, 미국, 영국, 러시아 등과 공동투쟁하여야
된다는 연대항쟁의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조직된 이 연맹에 가담 활동하였다.

여기서 의사는 중국동지들로 조직된 남화(南華) 청년아나키스트연맹과 연락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였는데,
1925년 7월의 일본, 영국 두 나라 자본가들을 상대로 유명한 상해(上海)파업이 일어나자
동지들과 더불어 10여만의 대노동조직을 동원하여 적극 투쟁하였다.
1927년 여름 농촌의 자치자위(自治自衛)운동을 한·중·일 3국동지 합작으로 일으키게 된다.

의사는 이정규(李丁奎)와 정화암(鄭華岩) 동지와 더불어 복건성 천주시 민남 25현
민단편련처)(福建城 泉州市 民南 25縣 民團編練處라는 농민자위군을 조직하여 농촌계몽
과 직화에 힘써 그 조직이 수천명으로 커지자 토비(土匪) 및 공비(共匪)에 대한 수호 및 농민자치운동을 전개하였다.

1928년 9월 남경(南京)에서 동방아나키스트동맹이 조직되었는데 의사는 한국대표로 참석하였다.

의사는 기관지 『동방(東方)』의 편찬위원으로 활동 중 폐결행을 앓고 있는 동지를 구환하다
폐결핵을 얻어 북경에서 잠시 요양을 하였다.
요양하는 중에도 동지들과 같이 남화한인청년연맹을 조직하고
또한 1930년 길림성 해림시(吉林城 海林市)로 가서 김종진(金宗鎭), 이강훈(李康勳)등과
같이 김좌진(金佐鎭), 이을규(李乙奎) 등이 조직한 한족총연합회(韓族總聯合會)에 가담
하여 재만한교(在滿韓僑)의 조직강화와 혁명사상 최고에 전략하는 한편 독립운동
전선을 분열시키려는 반동분자의 구축과 일제의 주구 색출에 적극 노력하였다.

1931년 9·18사변이 일어나자 의사는 북경을 거쳐 상해로 들어와 남화한인청년연맹의
산하 단체로 남화구락부(南華俱樂部)를 두는 한편 중국인 동지들과 항일구국연맹을
조직하여 한중공동투쟁을 전개하였다.

이의 실행을 위해 행동대를 편성하였는데 이른바 흑색공포단(黑色恐怖團),
일명 BTP(BLACK TERRORIST PARTY)라고 불리었다.

흑색공포단은 토의 후 곧장 실력행사에 들어가 곳곳의 일본영사관을 습격하여
방화, 파괴하였으며 특히 천진(天津)에서는 중국인과 백 의사, 이강훈, 원심창(元心昌) 등과
같이 일본의 군수물자를 싣고 들어온 일본군함 만톤급 1척을 대파시키는 대전과를 세워
적의 간담을 서늘하게 해주었다.

1933년 의사는 상해 공동조계(共同租界)내의 육삼정(六三亨)이라는 고급일식점에서
일본 군부의 거물들이 중국의 군별들과 회합을 갖는다는 정보를 입수하게 되었다.

즉 일본 육군대신 황목정부(荒木貞夫)가 주중일본공사 유길명(有吉明)에게
미화 2천만불 상당의 거금을 주어 중국 국민정부내의 附日分子와 고급장성을 매수하여
항일유격대와 독립군을 탄압시키고자 그 회의를 1933년 3월 17일에 연다는 것이다.

연맹은 곧 회의를 소집하고 이에 참여할 대원을 뽑았는 바 의사는 강력히 요청하여
이강훈, 원심창 의사 등과 같이 3인이 육삼정에 폭탄을 던져 아수라장을 만들고
왜적을 처단한다는 계획을 만들었다.

폭탄은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거 때 사용되었던 것과 동형으로
백범 김구(白凡 金九) 주석이 주고 간 것으로 사용하고 투척연습과 현장확인 등 치밀한 계획을 세워나갔다.

거사당일 육삼정 부근 송강춘(松江春)이라는 음식점에서 기회를 기다리고 있던 중
이미 변절자에 의해 밀고되어 급히 밀어닥친 일·중 합동경찰에게 거사직전 체포되어
상해에서 취조를 받은 후 같은해 7월 5일 일본 장기(長岐)로 압송되었다.

백 의사 등은 장기지법(長岐地法)의 판결을 받았는데 백의사와 원심창 의사는
무기징역, 이강훈 의사는 15년 징역을 언도받았다.
백 의사는 1934년 6월 5일 적의 땅인 일본의 감옥에서 폐병이 악화되어
39세의 젊은 나이를 일기로 순국하였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포토]지리산 노고단에 핀 진달래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