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조선일보'의 왜곡보도를 진단한다

교사 인사문제는 70년대부터 있던 일,‘새마을운동’의 실패도 한 몫

조종안 기자 | 기사입력 2007/01/20 [10:01]

'조선일보'의 왜곡보도를 진단한다

교사 인사문제는 70년대부터 있던 일,‘새마을운동’의 실패도 한 몫

조종안 기자 | 입력 : 2007/01/20 [10:01]
'조선일보'의 왜곡 보도를 진단한다 

1월 19일 조선일보는, 전교 6학급인 충남의 S초교 임모(47) 교사가 부임 1년 만에 도시학교로 ‘전근 신청’을 낸 것을 예로 들며 교사들이 농어촌·도서 벽지를 무더기로 떠나는 것처럼 보도하고 있다.

농어촌·도서 벽지 교사들이 도시학교로 전근신청을 내는 이유는 개인적인 문제도 포함되어 있을 터인데도 지난 12월 교육부가 입법예고한 ‘교육공무원 승진규정 개정안’ 때문이라며 교육부를 비판하고 있다. 또한 “승진에 반영되는 근무평정(근평)이 10년으로 늘고, 가산점이 줄어드는 등 농어촌·도서벽지 교사들이 불이익을 받게 돼 있다.”며 강원도의 경우에는, 매년 10여명 수준이던 ‘전보 발령’ 신청이 올해 42명으로 늘어났다고 설명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다섯 문단의 짧은 기사임에도 제목과 중간에 ‘농어촌·도서 벽지 학교의 교사들이 떠나고 있다’는 글귀를 넣는 친절을 베풀고 있는데, 교사들의 처우와 농어촌·도서 벽지 학생들을 걱정하는 게 아니라 마음은 콩밭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긴,  1년 6개월 전에 다녀온 시골 중학교 학생들의 산행을,   빨치산 추모제에 다녀왔다며 교사와 학생들의 사상 문제를 거론하는 등 공안당국의 수사를 촉구하는 기사로 순진한 시골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가슴을 아프게 했던 조선일보이니 무슨 말인들 못하겠는가.

조선일보는 자칭 ‘민족지’에 ‘할말은 하는 신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미래를 짊어진 아이들과 직접 관련된 문제이니 눈앞에 보이는 것만 탓할 게 아니라, 농어촌·도서 벽지를 원했던 교사들이 왜 도시로 ‘전근 신청’을 하는지 원인과 해결책을 심층취재 했어야 옳다.

조선일보 말마따나 교사들의 ‘조시 전근’ 현상이 몰리는 것도 따지고 보면, 1년 과정의 ‘교원양성소’까지 만들어 교사를 과다 배출한 박정희 유신독재정부의 교육정책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도 조선일보는 현 정부만을 탓하고 있다.

교사 인사문제는 70년대부터 있던 일

‘선택가산점’을 취득하기 위한 도시 교사들의 농어촌·도서 벽지학교 선호는 30년 전 박정희 시절로 올라간다. 당시 교감, 교장 승진에 뒤지지 않으려는 교사들에게 가산점이 붙는 농어촌·도서 벽지로의 발령제도는 인기가 좋았다. 그러나 정책의 장기화에서 오는 부작용과 농촌정책(새마을운동)의 실패로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교원양성소’를 신설, 단기간의 교육을 받게 하여 임지로 발령을 냈던 허술한 교육정책은 교사간의 위화감과 갈등을 부추겼고, 교사들은 꾸준히 배출되는 반면,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생들이 줄어들면서 부작용이 더욱 커갔다. 거기에 이농현상으로 문을 닫는 시골학교들이 늘어나면서 심각성이 더해갔다. 덧붙인다면 새마을 운동의 실패도 빼놓을 수 없다.

‘새마을운동’의 실패도 한 몫 

박정희를 찬양하는 세력들은 새마을운동은 성공했으며 농촌 경제발전에 기여했다고 자랑하는데 그들 주장대로라면 요즘엔 농어촌·도서 벽지라는 명칭이 바뀌거나 사라졌어야한다. 또한 ‘선택가산점’이 없어도 살기 좋은 농어촌·도서 벽지 근무 희망을 원하는 교사들이 넘쳐야 앞뒤가 맞는다.

‘새마을운동’은 군(軍)부대에서 공개투표가 보란 듯이 자행되고, 동네 반장과 이장이 집집마다 밀가루와 고무신을 나눠줬던 71년 대선을 1년 앞두고 시작됐다. 그러나 박정희 영구집권을 위한 포석으로 ‘이웃과의 불신운동’, ‘농촌버리기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농민과 관계기관 지도자간의 협조를 전제로 농촌 자주노력의 진작 방향을 연구하라”는 박정희 지시로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선거 때면 지도자들이 정부와 여당후보를 홍보하고 유세장에 주민을 동원했던 사실을 당시 대한뉴스가 잘 설명해주고 있다.

농가소득 증대와 자조적인 협동노력에 의한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생활환경발전에 실패한 새마을운동은 도시로 떠나는 농어촌·도서 주민들이 빠른 속도로 증가해 도농간의 격차를 더욱 가증시켜 사람이 찾지 않는 농촌을 만들었다.

새마을운동이 실패했다는 근거 세 가지만 들어보면..

첫째, 농촌을 도시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적과 달리 도시만 키우고 농촌을 황폐화시킴으로써 젊은이들이 사라진 농촌을 만들었다.

둘째, ‘지역균형개발’이라는 구호만 있었지 시간이 갈수록 지역의 불균형과 갈등만을 가증시키면서 절름발이 국토를 만들었다.

셋째, '하면 된다'는 신념을 국민에게 심어주는 의식개혁운동이라고 했지만, 이웃간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자율권과 참정권을 박탈하는 반민주 반사회적 운동으로 전락했다.

조선일보와 공생관계인 한나라당은 이농현상을 부추겨 수도권 인구 과밀현상을 초래한 ‘새마을운동’을 박정희의 업적이라고 우기고 있다. 중국에서도 배워(수입)갔다며 자랑을 늘어놓는 데 공산주의 국가가 배워간 정책을 자랑하는 그들의 정체성이 의심스럽다.

새마을운동은 결국 모든 게 서울로 집중되는 ‘서울공화국’을 탄생시켰고, 박정희의 갑작스런 죽음은 광주를 피바다로 만든 전두환을 불러들였다. 또한 박정희와 ‘서울공화국’ 사이에서 태어난 ‘영남패권주의’는, 정권교체 1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정치, 경제, 사회 등 전반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교사들이 농어촌·도서 벽지를 떠나는 현상은, 70년대 유신독재시절부터 심각한 현상으로 대두되어왔고, 박정희의 일관성 없는 교육정책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도 현 정부만을 탓하는 조선일보는 1등 신문다운 면모를 보여주기 바란다.

진실을 밝히는 뉴스/플러스코리아 조종안 대기자 chongani@hitel.net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포토] 보성녹차마라톤대회, 메타세콰이어길에서 열정의 레이스 시작
1/23
연재
광고